conference

Council meeting

협치의 배경

더 넓은 주민참여와 더 깊은 민관 협치

  • 복잡 다양해진 지역문제 해결을 위해 민관 협치의 필요성 증가

    민관공동계획, 공동실행의 새로운 협치 시스템 도입
  • 민선7기, 더 많은 권한을 시민에게 내어주고 더 넓은 시민참여를 통해 '소통과 참여의 협치' 기반 정책 강화

    협치회의, 협치추진단 구성 및 운영
  • 분야별 민관 협치 활성화를 위한 지역사회혁신계획 수립 필요

    민관협의의 경험을 진단하고, 보다 발전적인 협치 시스템 구축

협치과제

이론과 실제를 두루 갖춘 협치 전문강사의 교육프로그램

숙의(심의)민주주의의 현장! 주민이 직접 참여하는 숙의공론장 기획으로 민관협치의 의제와 사업을 선정

민관 협치의 감수성을 높이는 워크샵의 안정적 운영

SNS(블로그, 유투브 등), 유관기관 홈페이지의 온라인과 오프라인 홍보의 채널 연계를 통한 홍보 극대화

협치캠퍼스

협치캠퍼스 연간 계획에 따른 교육 프로그램 운영

교육 프로그램 및 공론장 의제 도출에 전문성 고려

교육 참가자 워크숍 진행시 효과성 및 안전성 제고

주요내용
  • - 협치캠퍼스 운영(주민·공무원 교육)
  • - 숙의 공론장 운영(지역 특성을 반영한 협치 방향 및 의제 발굴)
  • - 민·관 협치 워크숍 운영
  • - 협치 관련 각종 워킹그룹 등 위원회 개최 (협치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및 제도 개선 방안 수립)
협치캠퍼스의 연차적 목표와 과제
구분 목표 과제 요구되는 핵심 역량
1학년 협치 가치 인식 협치 이해, 필요성 확립

주민의 창의적 공공성(Publicness) + 공무원의 행정혁신(Innovation)

협치에 대한 충분한 공감과 민과 관이 서로의 역할을 인지하고 상호이해 할 수 있는 역량

2학년 협치 파트너십 정착 협치 퍼실리테이션 양성화

의사소통(Communication) + 지역사회 이해(Understanding)

협치 문화를 공유하고 지역의 정확한 현황 파악을 통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량

1학년 협치로 지역 상생 협치 공유, 지역의제 주도적 운영

전문역량(Competency) + 협업능력(Collaboration)

관심분야에 대한 깊이있는 지식과 경험을 통해 지역의제를 협치로 해결해 나갈 수 있는 역량

  • 주민 참여 협치 인식 캠퍼스

    주민 주도 협치를 위한 주민 협치 역량 강화

  • 시민활동가 캠퍼스

    민관파트너십 형성을 위한 활동가 역량 강화

  • 공무원 캠퍼스

    주민중심의 공직가치관 확립을 위한 행정 협치 역량 강화

  • 민관 협치 워크숍

    지속 가능한 협치 체계 구축과 협치 역량 강화를 위한 민관 파트너십 형성

숙의(심의)민주주의의 현장!

주민이 직접 참여하는 숙의 공론장 기획으로 민관 협치 의제와 사업을 선정

찾아가는 공론장 운영 퍼실리테이션 기법을 활용하는 ‘우리동네 아이디어 테이블’ 프로그램을 통해 심의(숙의)민주주의를 주민이 직접참여

주민 공론장(대공론장) 개최 지역내 협치 사업의 대공론장을 구성하고 협치 사업의 우선의제를 확정

분과별 공론장 운영 교육, 경제·일자리, 복지·환경 분야등 분과별 토의를 통한 협치 의제 발굴
지자체와 협의를 통해 세부토론주제 설정